카테고리 없음

서울시 2025년 청년 혜택 총정리

볼삶 2025. 6. 13. 00:00

서울에 사는 청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정책들이 있다.

2025년에도 서울시는 주거, 일자리, 생활비, 복지 전 분야에 걸쳐 다양한 청년 대상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서울시 거주 청년을 위한 주요 지원 제도를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보았다.

 

 

1. 서울 청년수당 💸

내용: 구직 중인 만 19~34세 청년에게 월 50만 원씩 최대 6개월 지원

조건: 서울 거주,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 미취업 상태

신청 시기: 연 1~2회 공고 후 온라인 접수 (서울청년포털)

💡 알아두세요
청년수당은 중복 참여가 제한되며, 기초생활수급자·국민취업지원제도 참여자는 신청 불가

 

2. 청년 월세 지원 🏠

내용: 월 최대 20만 원, 최대 10개월 월세 지원

조건: 만 19~39세, 1인 가구, 서울 거주, 소득 150% 이하

주의: 본인 명의 계약 + 전입신고 필수

 

3. 역세권 청년주택 🏢

내용: 역세권 인근에 시세보다 저렴한 공공임대/민간임대주택 공급

대상: 만 19~39세 무주택 청년,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신청방법: SH공사 홈페이지 및 공고 확인

 

4. 서울런 📚

내용: 온라인 강의 플랫폼 무료 제공 (중·고등학생, 취준생 대상)

과목: 수능과목, NCS, 컴퓨터 자격증 등 다양

추가 혜택: 학습 멘토링 서비스, 학습지 지원 이벤트 운영

 

5. 청년 미래투자카드 💳

내용: 연간 120만 원 상당의 자기계발 비용 지원

용도: 독서, 헬스, 교육비, 전시·공연 관람 등

지원 방식: 서울페이 포인트 또는 체크카드 형식

 

6. 서울형 청년취업사관학교 🧑‍💻

내용: IT, 디자인, 마케팅 등 분야별 실무형 취업 부트캠프 운영

비용: 전액 무료 + 취업 연계 지원

캠퍼스: 강남, 은평, 동대문 등지에 분산 운영

 

7. 청년 마음건강 바우처 🧠

내용: 전문 심리상담 비용 지원 (회당 1.5만 원, 연 12회)

대상: 만 19~34세 서울 거주 청년

신청: 서울청년포털 → 온라인 접수

 

요약 🔑

서울시 2025년 청년 혜택은 주거, 심리, 교육, 일자리까지 폭넓게 제공된다.

청년수당, 월세지원, 역세권 청년주택은 소득 기준과 전입신고 요건이 중요하다.

서울청년포털 및 SH공사 공고를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 핵심!

 

출처: 서울청년포털, 서울시청 홈페이지,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