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청년 인구가 많은 지역답게, 매년 다양한 청년정책을 확대해왔다.
2025년에도 취업, 주거, 생활, 심리, 금융 전방위에서 청년 지원이 이어지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경기도에 거주하는 청년을 위한 핵심 혜택 7가지를 정리했다.
1.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
내용: 분기마다 25만 원, 연 최대 100만 원 지역화폐 지급
조건: 만 24세, 경기도 거주 3년 이상 (혹은 합산 10년)
지급 방식: 경기지역화폐 앱 또는 카드로 수령
2025년부터는 일부 시·군에서 추가 조건 없이 만 19~34세까지 확대 지원 검토 중
2. 경기도 청년 면접수당 🧑💼
내용: 면접 1회당 3만 원, 최대 6회 18만 원 지급
조건: 만 18~39세 경기도 거주, 면접 응시 확인 필요
신청: 잡아바 홈페이지 또는 각 시·군 청년지원센터
3.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 💰
내용: 월 10만 원 저축 → 2년 후 최대 580만 원 수령
조건: 경기도 소재 중소기업 근무 청년 (소득 기준 충족)
포인트: 근속·자기계발 등 조건 충족 시 추가 지원금 지급
4. 청년마음건강바우처 🧠
내용: 심리상담 최대 8회 지원 (1회 5~6만 원 상당)
대상: 만 19~34세, 경기도 거주 무직·취준생 우선
특징: 원하는 상담사를 직접 선택해 이용 가능
5. 경기도 청년 주거급여 분리지급 🏠
내용: 부모와 따로 사는 청년에게 별도로 주거급여 지급
대상: 기준 중위소득 47% 이하 청년 (만 19~34세)
지역별 지급액: 시·군별 차등, 월 20만~35만 원 수준
부모와 주소지가 다르고, 임대차 계약서가 있어야 하며 전입신고 완료 상태여야 한다.
6. 경기도 청년 지원센터 ‘잡아바’ 플랫폼 📲
내용: 경기도 전역의 청년정책, 일자리, 공고 통합 플랫폼
제공: 무료 강의, 이력서 첨삭, 자기소개서 첨삭, 멘토링 등
링크: 잡아바 공식 홈페이지
7. G-드림 청년통장 (지자체 연계형) 💼
내용: 월 15만 원 저축 시, 도에서 2배 이상 매칭 지원
조건: 청년 중소기업 근무자, 연소득 3,600만 원 이하
목적: 청년의 자산 형성 및 장기근속 유도
🔑 요약
경기도는 청년기본소득, 면접수당, 통장 지원 등 소득 지원이 강점이다.
주거급여와 마음건강 바우처 등 실생활 맞춤형 정책도 다양하게 운영 중이다.
경기도 잡아바 플랫폼을 수시로 활용해 공고를 체크하는 것이 핵심!
출처: 잡아바(Jobaba), 경기도청, 경기도일자리재단